안녕하세요. 블루의경제일상입니다.
오늘은 국내 및 미국 주식 매도 후 출금 가능일은 언제인지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 해요!
주식을 처음 해보신 분들이라면 보유한 주식을 매도 후 바로 돈을 출금할 수 없어 당황하실 수도 있는데요. 모든 주식 거래는 매도 후 바로 출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.
국내, 미국 주식 매도 후 출금 가능일 언제?
보통 주식 거래는 T+2일 정산이 원칙이에요. 이게 무슨 말이면 여기서 T는 매도일을 뜻하고 +2는 영업일 기준 2일입니다.
다시 말해, 매도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2일에 정산되어 매도금액을 출금할 수 있어요.
예시. 월요일에 주식 매도
월요일에 주식을 매도했다고 가정해볼게요. 그러면 T+1은 화요일이 되고, T+2는 수요일이 됩니다. 즉, 출금 가능일은 수요일이 되겠죠.
그전에는 이체 및 출금이 불가능했던 예수금이 수요일부터 출금 가능액으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!
예시2. 금요일에 주식 매도
그럼 이제 매도일이 금요일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. 여기서 T+1은 영업일 기준이기 때문에 주말(토,일)은 영업일이 될 수 없습니다.
그래서 T+1은 다음 주 월요일이 되고 T+2는 다음 주 화요일이 됩니다. 즉, 금요일에 매도하면 출금 가능일은 다음 주 화요일이 됩니다. 공휴일은 영업일에서 제외된다는 점을 계산할 때 반영해주면 돼요!
그래서 목, 금요일에 주식을 매도할 경우 출금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으니 빨리 돈을 출금하고 싶다면 월요일~수요일에 주식을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!
해외 주식 매도 후 입금일 계산
이제 해외 주식 매도일을 볼게요. 보통 해외 주식은 국가별로 조금씩 다른데 미국의 경우 한국과 마찬가지로 T+2일 원칙이 적용돼요!
그러나 kb증권이나 미래에셋증권같은 한국 증권으로 미국 주식을 하는 경우에는 외화를 환전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어요.
▼참고 포스팅
kb증권 외화 예수금 출금 즉시이체 방법
오늘은 kb증권 외화예수금 출금과 외화이체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 저처럼 미국 주식을 하시는 분들은 달러로 거래를 하기 때문에 외화예수금이 발생하게 되는데요. 그렇다면 이 외화예
jeannielee.tistory.com
위 포스팅을 보시면 해외주식을 매도한 경우 외화 예수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이를 출금하려면 환전을 해야 출금이 가능해요!
그래서 출금가능일이 되어도 원화로 환전하지 않을 경우 국내 계좌로 돈을 입금할 수 없습니다!
지금까지 국내 및 해외 주식 매도 후 출금 가능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기본적으로 영업일 기준 2일부터 매도금을 출금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세요!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.
지금까지 블루의경제일상이었습니다 :)
'경제 > 저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퇴직연금 dc형 etf 투자 후기 ft. 배당, 수익률 (0) | 2025.02.01 |
---|---|
케이뱅크 파킹통장 금리 2.2% 플러스박스 이자 후기 (0) | 2025.01.08 |
케이뱅크 돈나무키우기 보상금 앱테크 후기 (3) | 2024.12.19 |
irp 계좌 세액공제 한도 연말정산 대비 필수템 (3) | 2024.12.07 |
앱테크 현금화 방법 및 후기 토스 , 네이버페이 (1) | 2024.11.2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