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주식

주식 RSI 뜻, 지표 보는 법: 가격조정 신호?

by 블루의경제일상 2024. 10. 15.
반응형

오늘은 주식을 할 때 알아두면 좋을 RSI 뜻과 지표를 보는 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! 

사실 rsi는 꼭 주식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가격 변동을 분석할 때도 유용하게 쓰이는 지표인데요. 그렇다면 RSI 뜻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rsi 뜻, 지표 보는 법

 

RSI(Relative Strength Index) 뜻

 

RSI는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 주가의 상승과 하락 속도를 측정하여 과매수인지, 과매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 

더 쉽게 설명드리면 주식의 상승과 하락 강도를 비교하여 시장이 과열 되었는지 여부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. 

RSI는 0부터 100 사이의 값으로 표시되는데 이때 70 이상이면 과매수이고 30이하이면 과매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 

 

 

RSI 해석 

70이상: 과매수 (가격 조정이 발생할 확률 有)
30이하: 과매도(가격이 낮아 반등 가능성 有)

 

RSI 지표 보는 법 

 

사실 RSI는 지표를 보는 법보다는 수치가 높거나 낮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는 것이 더 중요한데요. 

rsi 수치가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셨다면 지표를 보는 법은 정말 간단합니다. 아래는 팔란티어 주가 차트입니다. 보조 지표에 rsi를 추가해보았습니다. 

 

팔란티어에서 rsi 70이상 이상이 된 후 가격조정이 들어갔다.

 

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해놓은 부분의 차트를 보면 RSI가 70이상으로 과매수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. 그 뒤로 가격조정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그러나 꼭 70을 넘는다고 해서 반드시 가격 조정이 오는 것은 아니고 과매수인 상태에서 계속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 


지금까지 주식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RSI 지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 주가가 과매수인지, 과매도인지 상태를 보여주는 도구로 여러분들도 유용하게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! 

지금까지 블루의 경제일상이었습니다. 

반응형

댓글